티스토리 뷰
오늘은 시설물유지관리업 면허취득 하는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시설물유지관리업도 전문건설업 중 하나입니다.
위에서도 확인하신 바 시설물유지관리업 업무영역에 대해서 잠깐 언급드리고
등록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 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별표 1 *
시설물의 완공이후 그 기능을 보전하고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에 대하여
일상적으로 점검 정비하고 개량 보수 보강하는 공사.
다만,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공사를 제외함 (시행령 별표1)
- 건출물의 경우 증축 개축 재축 및 대수선공사
- 건축물을 제외한 그 밖의 시설물의 경우 증설 확장공사
및 주요구조부를 해체한 후 보수 보강 및 변경하는 공사
- 전문건설업종중 1개 업종의 업무내용만으로 행하여지는
건축물의 개량 보수 보강공사
*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6조 *
관리주체는 시설물에 대해 안전점검(정기점검, 정밀점검, 긴급점검)을 직접 실시하는 경우
외에는 안전진단 전문기관이나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하여 시 도지사에게 등록한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업으로 하는 전문건설 업자로 하여금 안전점검을 하게 하여야 한다.
- 정기점검 : 반기별 1회 이상실시, 다만,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주택법시행령 제65조에 따른 안전점검으로 갈음한다.
-정밀점검 : 1년에 1회이상실시, 다만, 건축물에 대하여는 2년에 1회이상, 항만시설물중 썰물시
바닷물에 항상 잠겨 있는 부분에 대하여는 4년에 1회 이상으로 한다.
-긴급점검 : 관리주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때 또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관리주체에게 긴급 점검을 요청한 때
이제부터는 시설물유지관리업등록기준안내입니다.
자본금등록기준은
법인과 개인 같은기준인 3억원이상의 등록자본금을 충족해야합니다.
위 등록기준이 충족했음을 증빙하는 서류로는
기업진단보고서가 있습니다.
시설물유지관리업 기술능력안내입니다.
다른 전문건설업과는 다르게 총4인의 기술인을 등록해야합니다.
이 기술인은 자격법에 해당하는 자격증소지자는 등록이 안됩니다.
반드시
기술인협회에서 발급하는 경력증소지자
건축분야 초급이상 또는 토목분야 초급이상의
기술인을 등록해야합니다.
시설물유지관리업 시설장비등록기준입니다.
사무실은 근린생활시설 또는 사무실 용도이어야 하며,
건축물대장 또는 등기부등본을 증빙서류로 제출하면 됩니다.
시설물유지관리업은 장비등록기준이 있습니다.
1. 돋보기 2. 망원경 3.카메라 4.비디오카메라
5. 균열폭 측정 현미경 6. 반발경도 측정기
7. 음파측정 망치 8. 음파층정 체인 9. 초음파측정기
10. 콘크리트 피복측정기 11. 전위차 측정장치
12. 전기저항 측정장치
이렇게 장비를 준비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시설물유지관리업 또한 자본금 등록기준이 있기때문에
공제조합업무도 진행해야 합니다.
자본금의 20%~25%에 해당하는 금액을 예치 및 출자해야합니다.
오늘은 시설물유지관리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습식방수공사업
- 시설물유지관리업
- 전문
- 종합
- 산업환경설비공사업
- 전문건설업면허
- 기타공사업
- 강구조물공사업
- 건축공사업
- 조경공사업
- 토공사업
- 포장공사업
- 실내건축면허
- 조경식재공사업
- 이한씨앤씨
- 상하수도설비공사업
- 승강기설치공사업
- 비계구조물해체공사업
- 실내건축공사업
- 조경
- 공사업
- 기계설비공사업
- 건설업
- 전문건설면허
- 정보통신공사업
- 전문건설업
- 전기공사면허
- 전기공사업
- 종합건설업
- 토목공사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